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지자체 최초의 우주 도전, 진주시 초소형 위성 '진주샛-1B' 발사 성공

일상을기록하는사람 2025. 3. 16. 23:58
반응형

대한민국 지자체 최초의 우주 도전, 진주시 초소형 위성 '진주샛-1B' 발사 성공

경남 진주시가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자체 개발한 초소형 위성 '진주샛-1B(JINJUSat-1B)'의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2025년 3월 15일 오후 3시 39분(현지시간 14일 오후 11시 39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콘9 로켓에 실려 우주로 향한 진주샛-1B는 발사 54분 후 고도 약 520km 지점에서 정상적으로 사출되었습니다. 이후 약 5시간 20분 뒤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우주부품시험센터와 첫 번째 교신에도 성공하며 위성의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습니다.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5/03/16/DFISZN2AFFDLDLANEWR5XHU2DY/

출처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5/03/16/DFISZN2AFFDLDLANEWR5XHU2DY/ 지자체가 첫 위성 쐈다...진주시, 초소형 ‘진주샛’ 발사 성공

실패를 딛고 이룬 값진 성공

이번 성공은 진주시에게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진주시는 2023년 11월 '진주샛-1'을 발사했으나 사출 과정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기존 설계를 바탕으로 '진주샛-1B'를 재제작하여 두 번째 도전 끝에 마침내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로써 진주시는 초소형 위성을 발사한 전국 최초의 지방자치단체라는 역사적인 타이틀을 획득하게 되었습니다.

진주샛-1B의 구성과 임무

진주샛-1B는 가로·세로·높이가 모두 10cm인 정육면체 유닛(Unit) 2개로 구성된 2U 크기의 초소형 큐브 위성입니다. 위성에는 지구 촬영을 위한 카메라 3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앞으로 3개월 동안 지구 사진 촬영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 작은 위성은 우주에서 지구의 모습을 담아내며 진주시의 우주 도전을 상징하게 될 것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우주개발 의의

진주시의 초소형 위성 개발 사업은 2019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진주시는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경상국립대학교와 함께 1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이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습니다. 이 사업은 단순히 위성을 발사하는 것을 넘어, 경상국립대 석·박사 과정의 우주분야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교육적 목표도 함께 추구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우주개발 사업은 국내에서는 전례가 없는 도전이었습니다. 그동안 우주개발은 중앙정부나 대기업의 영역으로 여겨졌으나, 진주시의 성공은 지방자치단체도 뉴스페이스(민간 우주개발) 시대의 주요 플레이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진주시의 우주항공도시 비전

조규일 진주시장은 "진주샛-원비 발사 성공은 진주시가 우주항공산업 선도 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중요한 순간"이라며 앞으로의 비전을 밝혔습니다. 진주시는 이번 성공을 발판으로 뉴스페이스 시대에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운스트림(위성 활용)' 분야 선점에 나설 계획입니다.

이미 진주시는 국내 주요 위성 활용 기관의 실무자들이 모여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위성 활용 전문 자문위원 협의체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경남 우주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지원' 사업을 통해 기업을 대상으로 위성정보를 활용한 행정지원시스템을 공모·발굴할 예정입니다. 또한 경남도, 사천시와 함께 실증 기회를 제공하는 시범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후속 위성 개발 계획

진주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진주샛-1B의 후속 사업으로 경남도, KTL, 경상국립대와 함께 6U급의 'JINJUSat-2(진주샛-투)'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은 해수온과 해색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탑재하여 경남도 연근해 감시 임무를 수행하게 될 예정이며, 2027년 하반기에 발사될 계획입니다. 진주샛-투는 1년간 운용되며, 도내 우주기업 육성과 전문인력양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진주시의 이번 위성 발사 성공은 단순한 기술적 성취를 넘어,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우주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 진주시가 우주항공산업 선도 도시로 더욱 발전해 나갈 모습이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