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대통령, 출생시민권 폐지 행정명령 서명… 원정출산과 이민 정책의 변화 예고

일상을기록하는사람 2025. 1. 22. 03:17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 출생시민권 폐지 행정명령 서명원정출산과 이민 정책의 변화 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 1 20일 취임 첫날, 출생시민권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조치는 미국 내에서 태어난 불법체류자 자녀들에게 자동으로 시민권을 부여하는 제도를 중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원정출산을 포함한 이민 정책 전반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

 

 출생시민권 폐지의 주요 내용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적용 대상: 2025 2 19일 이후 태어난 아이들부터 적용.

- 조건: 부모 중 한 명이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 아이는 시민권을 받지 못함.

- 비자 발급 강화: 원정출산을 막기 위해 관광비자 발급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더 이상 세계에서 유일하게 출생시민권을 허용하는 나라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번 조치가 불법 이민과 원정출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사회적 영향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1. 불법체류자 증가: 출생시민권 폐지로 인해 불법체류자 인구가 현재 약 1100만 명에서 2050년까지 16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에서 태어난 약 470만 명의 아이들이 시민권 없이 성장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원정출산 감소: 관광비자 발급 요건 강화와 함께, 원정출산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출생시민권 폐지가 원정출산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3. 사회적 통합 저해: 시민권을 얻지 못한 아이들은 의료 서비스, 교육 등 기본적인 권리에서 배제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사회적 소외와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4. 경제적 영향: 인재 유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H-1B 비자를 통해 미국에 체류 중인 고급 인력들이 캐나다나 호주 등 다른 국가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큽니다.

 

---

 

 법적 논란과 반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헌법 수정 14조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 법적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정헌법 14조는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한 모든 사람은 미국 시민"이라고 명확히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소송 제기: 캘리포니아와 뉴욕을 포함한 15개 주와 샌프란시스코 시는 이미 소송을 제기했으며, 미국시민자유연맹(ACLU)도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 전문가 의견: 대부분의 법률 전문가들은 헌법 개정 없이 출생시민권 제도를 폐지하려는 시도가 성공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

 

 "원정출산을 안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일부에서는 "원정출산을 하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겠느냐"는 단순한 해법을 제안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상황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1. 다양한 동기: 원정출산은 단순히 시민권 획득만이 아니라 더 나은 의료 서비스와 교육 기회를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우회 가능성: 출생시민권이 폐지되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장기 체류나 시민권 획득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경제적 파급효과: 원정출산 관련 산업에 의존하던 지역 경제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폐지는 단순히 이민 정책의 변화를 넘어 미국 사회의 근본적인 가치와 구조를 흔드는 중대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조치는 법적, 정치적 논쟁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미국 내에서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반응형